안녕하세요,
오늘은 ISA 계좌를 활용한 절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절세를 진행할 부분은 `금융투자소득세` 라는 세금 입니다.
민*당이 국회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신설된 세금인데요, 다행히도 2023년부터 시작되려고 했던 것이 2025년부터 시행으로 2년 유예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세금을 2년간은 내지않아도 되는 고마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원래 비과세였는데...)
먼저, 금융투자소득세란?
연간 5,000만원이 넘는 주식 양도이익에 대해서 20%의 세율(지방세 포함시 22% 세율)로 과세하는 것이 큰 틀입니다.
따라서, 연간 5,000원이 넘는 이익을 낼 수 있는 분들은 당연히 ISA를 통해서 절세를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ISA 계좌의 경우, 200만원까지는 비과세, 그 이상은 10%의 세율로 과세를 진행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연간 목표수익금액이 6,000만원이라면,
개인계좌를 통해서 5,000만원 가량을 이익내고,
나머지 1,000만원 가량을 ISA 통장을 통해서 이익을 낸다면,
전체 세금은 ISA 계좌의 800만원(200만원은 비과세)에 대한 10% 세율이므로, 총 80만원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개인계좌에서 6,000만원의 이익을 모두 실현하였다면, 1,000만원에 대한 22% 세율로 220만원을 내야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연간목표수익금액이 5,000만원이 넘는분들은 ISA계좌를 활용하시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다만, ISA 계좌의 납입한도가 연간 2000만원으로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최소가입기간인 3년이상으로 하여 미리 가입한다면 6,000만원의 자금을 ISA 계좌를 통해 굴릴 수 있습니다.
(5년으로 한다면 1억원이 되겠죠?)
그래서 금융투자소득세가 실행되는 2025년 이전인, 지금 미리 ISA 계좌를 가입해두어야 합니다. 잔금은 유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2025년 이후에, 그리고 만기가 1년미만 남은시점에 연간한도누적액을 모두 납입한 후 거래를 해서 이익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2023년에 0원납부, 2024년에 0원납부, 2025년에 3년치 6천만원 납부 가능)
저도 가족명의로 3년짜리 ISA 계좌를 하나 가입하였고, (한도 6천인셈)
제 명의로도 4년짜리(48개월) ISA 계좌를 하나 가입했습니다. (한도 8천인셈)
3년 후인, 2025년~2026년에는 가족명의 계좌로 주로 거래를 하고,
4년 후인, 2026년~2027년에는 제명의 계좌로 주로 거래를 하여,
추가적인 수익에 대해서 저율의 과세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계좌개설에 돈이 들지 않으니 미리 가입해서, 만기에 가까워지도록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그리고 ISA 계좌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국내주식 및 국내/해외 ETF 투자가 가능한 계좌는 중개형 ISA 계좌 입니다.
그리고, ISA계좌를 개설하는 금융기관별로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이 다르니, 가능한 증권사의 중개형 ISA 계좌를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와 구독! 꼬옥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중개형ISA #절세상품 #미리가입 #3년후 #5년후 #만기1년전 #금융투자소득세 #세금방어 #인출은 #만기시가능 #KB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Life (Food & Travel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시설 해외이전, 오프쇼어(Off-shore) 경험기 - 002 (0) | 2023.02.07 |
---|---|
생산시설 해외이전, 오프쇼어(Off-shore) 경험기 - 001 (0) | 2023.02.06 |
[영어공부] 독해연습 day#024 (0) | 2023.02.04 |
[영어공부] 독해연습 day#023 (0) | 2023.02.03 |
[영어공부] 독해연습 day#022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