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상장유형 중에 구주매출을 하는 경우 왜 피해야하는 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구주매출 100%인 대표적인 사례로 삼성에스디에스가 있는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삼성SDS) 소개
삼성에스디에스는 삼성그룹의 ITO를 수행하는 계열사 입니다. ITO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의 IT물류부문도 이관받아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에스원으로부터 IT보안 관련된 부분도 인수하여 종합ITO회사로 변신하였습니다. 하지만 계속 ITO 입니다...
삼성에스디에스 상장시도
삼성에스디에스는 2014년 10월경에 상장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때 신고된 증권신고서를 보면 구주매출 1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구주매출 100%이기 때문에 자금의 사용목적을 기록할 수 없다고 합니다. 왜 구주매출 100%인데 상장을 시도할까요? 이것은 바로, 대주주나 최대주주 관련인의 자금회수를 위함입니다. 비상장주식을 거래시 거래비용이 많이 듭니다. 양도세율도 크게 높아지구요. 하지만 상장회사의 경우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게 되면 양도세율은 없어집니다. 다만 대주주인 경우에는 여전히 양도세율이 붙습니다. 그래도 비상장보다는 상장회사의 양도세율이 20%이상 낮아지기 때문에 자금회수를 위해서 상장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 말고 좋아지는 것은 없나요? 네 없습니다. 신주발행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로 유입되는 돈이 없습니다. 주식을 팔려는 구주주에게 주식과 돈이 교환되는 것 이상이하도 아닙니다. 결국 회사는 상장을 하고도 아무런 효과를 얻을 수도 없습니다.오히려 주가를 관리해야하고 공시를 해야하는 등 IR에 대한 부담이 늘어납니다. 삼성에스디에스 정도의 회사라면 아무래도 IR담당자가 전업으로 2명이상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비상장일 경우에 2명에게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는데, 상장을 함으로써 이런 패널티를 안고 가는 것입니다.
마무리
그러므로 가능한 상장(IPO)하려는 회사의 모집 매출이 구주인지, 신주인지 살펴보고 구주일 경우 ㅌㅌ 하시길 바랍니다. 구주매출은 500원, 100원짜리 주식을 공모가에 매도하고 ㅌㅌ 하려는 것입니다. 신주일 경우에는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500원,100원짜리 주식을 공모가에 매도하지만, 그만큼의 차익이 회사에 귀속되어 회사의 신사업이나 재무구조 개선에 투자하게 됩니다. 적어도 구주매출보다는 회사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쓸 확률이 크다는 소리입니다. 구주매출은 전~~~혀 상관이 없지요.
'(주식) 미국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 안내 - 케이디비생명보험 (2023.8.20) (0) | 2023.08.20 |
---|---|
보스턴 다이나믹스 주식 - 현대차그룹의 생각은? (2023.8.20) (0) | 2023.08.20 |
삼성 준감위 전경련 가입승인 - 재가입 이점은? (2023.8.18) (0) | 2023.08.18 |
사회초년생 분할매수 - 현대모비스 알아보기 (2023.8.18) (0) | 2023.08.18 |
셀트리온 누적 공매도 수량 (2023.8.18) (0) | 2023.08.18 |